728x90

Web, Network, OS 4

[네트워크] OSI 7 계층 각 계층별 역할

1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0,1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encoding) 전선으로 흘려보내고, 아날로그 신호를 받아 0,1로 해석(decoding)하여 물리적으로 연결된 두대의 컴퓨터가 0,1의 나열을 주고받을 수 있게 해주는 모듈 PHY칩 등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2계층 데이터 계층(Data-Link Layer) 1계층 통신구조만으로는 여러대의 컴퓨터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힘들다 (1:1 연결구조) 전세계의 컴퓨터들은 (스위치, 라우터, 해저케이블 등을 이용한)계층구조로 연결되어있는데 이것을 인터넷이라고 한다. 같은 네트워크에 있는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필요한 모듈 데이터가 연달아 들어올때 (1110001110100...)어디서부터 어디까지..

Web, Network, OS 2022.03.14

트랜잭션 격리수준(Isolation level)

트랜잭션 격리수준(Isolation level) 트랜잭션은 원자성, 일관성, 격리성, 지속성을 보장해야 한다. 원자성: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한 작업들은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한다. 일관성: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일관적인 DB상태를 유지해야한다. 격리성: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들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야한다. 지속성: 트랜잭션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그 결과가 지속되어야 한다. 트랜잭션이 격리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순차실행을 해야하는데, 이럴 경우 처리 성능이 매우 낮아진다. 이런 제로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을 4단계로 나누어 정의하고 상황에 맞는 레벨을 사용하도록 한다. READ UNCOMMITTED(커밋되지 않은 읽기) READ COMMITTED(커밋된 읽기) REPETABL..

Web, Network, OS 2022.03.03

다양한 HTTP 상태코드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알려주는 다양한 응답코드에 대해 알아보자. 2XX(성공) 클라이언트 요청을 성공적으로 처리할 경우의 상태코드 종류 200 ok 201 Created : POST요청 처리 후 리소스를 생성하면 생성된 리소스의 경로가 헤더에 담겨 온다.(Locataion) 202 Accepted: 요청이 접수되었으나 처리완료 되지 않음 204 No Content: 요청은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나, 응답페이로드 본문에 담을 데이터는 없는 경우 3XX(Redirection)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 유저에이전트릐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 3XX를 응답결과로 받으면서 Location 헤더값이 있다면 클라이언트는 Location 위치로 자동이동 종류 1)영구적인 리다이렉션 - 리소스의 URI가 영구적으..

Web, Network, OS 2022.02.28

[HTTP] HTTP Method 종류와 특징

자주 사용하는 HTTP메서드 종류와 각 특징에 대해 살펴보자. GET 리소스를 조회할 때 사용 서버에 전달하고 싶은 파라미터는 query(쿼리 파라미터, 쿼리 스트링)을 통해 전달한다. (메세지 바디를 사용해 전달 할 수도 있으나 비권장) 성공시 응답 메세지 상태값으로 200 OK 가 반환된다. POST 요청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 메세지 바디를 통해 서버로 파라미터를 전달한다. 서버는 메세지 바디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처리한다. 주로 전달된 데이터를 신규로 등록하는 프로세스에 사용된다. 신규 자원이 생성되면 응답 메세지로 201 Created 상태값과 함께 신규 생성된 자원의 uri경로를 반환한다. POST의 사용 새 리소스 생성 요청 데이터 처리 : 데이터 생성이나 변경이 아닌 프로세스를 처리할 ..

Web, Network, OS 2022.02.25
반응형